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WizFi210
- IOT
- SKT
- 오픈 하우스
- IoTMakers
- Gainspan
- WiFi
- MQTT
- OpenSSL
- SerialPassthrough
- KT
- cloud
- micropython
- Cat M1
- PicoC
- AT+MEVTFORM
- script
- NB-IoT
- C Script
- WIZwiki-W7500
- W7500
- ESP8266
- WizFi310
- 안드로이드
- LoRa
- WizFi250
- ThingPlug
- SSL Server
- AT+FSOCK
- Neul
- Today
- Total
IoT Wireless
WizFi250 <Air Command mode> 개요 본문
1. WizFi250의 <Air Command mode> 란
<WizFi250 Air Command>는 일반적으로 Serial(UART)을 통해서 사용할 수 있었던 AT Command를 WiFi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. 그래서, <WizFi250 Air Command>를 이용하면, Serial이라는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없이도, PC나 스마트폰으로 대부분의 WizFi250 AT Command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.
예를 들어서,
- WiFi Provisioning(접속하려는 AP의 SSID, Passphrase, IP 등을 설정)
- Serial-To-WiFi 기능의 소켓 제어(AT+SCON를 이용)
- WizFi250의 GPIO 제어(스마트폰으로 WizFi250에 연결된 LED를 제어)
- 현재 WizFi250이 접속된 WiFi 상태 정보 보기(AT+WSTAT)
- WizFi250 원격 리셋
등등의 기능을 (WiFi를 통해서) 스마트폰이나 PC를 이용하여 가능하게 해준다.
주의할 점은 WizFi250 <Air Command mode>는 F/W <1.0.1.8> 버전 이상에서만 동작한다.
2. WizFi250의 <Air Command mode>를 구동시키는 방법
WizFi250의 <Air Command mode>를 구동시키는 방법은 (a) AT Command를 이용해서 구동하는 방법과 (b) GPIO를 이용해서 구동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.
(a) AT Command를 이용해서 구동하는 방법
먼저 AT Command를 이용해서 <Air Command mode>를 구동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.
AT+MAIRCMD=<OpenType>,<SocketType>,<LocalPort>,<Reserved>
<OpenType> : O(open at Once), S(register as a Service)
<SocketType> : T(TCP Server), U(UDP Server
<LocalPort> :
<Reserved> : Reserved
위의 설명대로, 명령어를 입력해보자.
AT+MAIRCMD=O,T,50001,0 [ERROR: WiFi Status]
여기서 오류가 발생한 것은 WizFi250의 WiFi Network가 구성이 되어 있지 않았지 때문이다.
즉, WizFi250이 AP에 접속되어 있거나 AP mode로 동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소켓 Open을 할 수 없어서 발생한 오류이다.
자, 그럼 WizFi250을 AP mode로 설정하고 Air Command 동작 명령을 다시 내려 보겠다.
AT+WSET=1,WizFi250_AIRCMD [OK] AT+WSEC=1,WPA2,123456789 [OK] AT+WNET=0,192.168.11.1,255.255.255.0,192.168.11.1 [OK] AT+WJOIN [Link-Up Event] IP Addr : 192.168.11.1 Gateway : 192.168.11.1 [OK] AT+MAIRCMD=O,T,50001,0 [OK]이제, WizFi250은 Soft AP로 동작하면서, TCP 50001번으로 Air Command 준비를 하고 있는 상태가 되었다. (b) GPIO를 이용해서 구동하는 방법
굳이 AT Command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<Air Command mode>로 동작시키는 방법도 있다.
WizFi250-EVB에 있는 Function Button(Pin42)을 한 번 클릭해서, WizFi250을 AP mode로 동작시키면, 자동적으로 <Air Command mode>로 동작하게 된다.
Set AP Mode & Web Server Launch [OK] [Link-Down Event] WizFi250 Version 1.0.1.8 (WIZnet Co.Ltd) [Link-Up Event] IP Addr : 192.168.12.1 Gateway : 192.168.12.13. <Air Command mode> 사용 방법
<Air Command mode>인 WizFi250에 AT Command를 전송하려면 "WizFi250AirCmd:" (15byte)를 패킷의 첫 부분에 보내고, 처리하고자 하는 AT Command를 보내고, 마지막에 <CR>(Carriage Return, 0x0d) 1 byte를 추가하면 된다. 단, <15 Byte Header>, <실제 AT Command>, <CR>은 모두 하나의 패킷에 포함되어서 전송되어야 한다.
실제 사용 예제를 보면 아래와 같다.
(TX) WizFi250AirCmd:AT+MINFO\r (24 Byte) (RX) FW version/HW version 1.0.1.8/WizFi250 Rev 1.0 [OK] (TX) WizFi250AirCmd:AT+WSEC=?\r (25 Byte) (RX) 1,WPA2,123456789 [OK] (TX) WizFi250AirCmd:AT+WSEC=1,WPA2,aaaabbbb\r (39 Byte) (RX) [OK] (TX) WizFi250AirCmd:AT+MMAC=?\r (25 Byte) (RX) 00:08:DC:00:55:76 [OK]4. <Air Command mode>를 이용한 WizFi250 무선 설정하기 예제
(TX) WizFi250AirCmd:AT+WSET=0,MySSID\rAT+WSEC=0,,12345678\rAT+WNET=1\rAT+MPROF=S\r (RX) [OK] [OK] [OK] [OK] (TX) WizFi250AirCmd:AT+MRESET\r
이것은 WizFi250이 내부적으로 아래의 명령을 수행한 것과 같다.
AT+WSET=0,MySSID AT+WSEC=0,,12345678 AT+WNET=1 AT+MPROF=S AT+MRESET
재부팅된 WizFi250에서 설정된 WiFi Provisioning 값들을 보면,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WizFi250 Version 1.0.1.8 (WIZnet Co.Ltd) at+mprof=vd +WSET=0,MySSID,,0 +WSEC=0,,12345678 +WNET=1,192.168.13.1,255.255.255.0,192.168.13.1 +WREG=AU +SCON=O,TSN,,0,5000,1 +SFORM=111111111,7b,2c,7d,0d,0a +MMSG=2 +MMAC=00:08:DC:00:55:76 +USET=115200,N,8,1,N +MECHO=1 +FWEBS=0,M +FGPIO={1,1,3,0},{1,5,3,0},{1,6,3,0},{1,7,3,0},{1,8,3,0} [OK]
'WiFi modu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zFi250 GPIO and ADC with Smartphone (0) | 2015.01.28 |
---|---|
WizFi250 OTA F/W Update 후에, CUSTOM Code 입력하기 (0) | 2015.01.13 |
WizFi250 UDP Broadcast Test (0) | 2014.11.14 |
WizFi250 SSL Test with Self-Signed-Certificate (0) | 2014.11.14 |
WizFi250 SSL Server Test & Certificate (0) | 2014.11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