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script
- OpenSSL
- AT+MEVTFORM
- WizFi210
- LoRa
- cloud
- 안드로이드
- Neul
- IoTMakers
- SerialPassthrough
- WiFi
- IOT
- micropython
- WIZwiki-W7500
- MQTT
- SKT
- SSL Server
- ESP8266
- Gainspan
- C Script
- WizFi250
- ThingPlug
- KT
- WizFi310
- 오픈 하우스
- NB-IoT
- W7500
- Cat M1
- PicoC
- AT+FSOCK
- Today
- Total
IoT Wireless
WizFi250 이벤트 메시지 관련 설정(AT+MEVTFORM, AT+MEVENTDELAY) 본문
1. AT+MEVTFORM
WizFi250를 사용하다 보면, 몇몇 이벤트 성 메시지들이 랜덤하게 발생하는데, MCU 입장에서 UART로 입력되는 이 이벤트성 메시지들을 분석하는데,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. 이 때 아래의 명령을 이용하면, 꼭 필요한 메시지들만 선별해서 사용하거나 단축화된 메시지 형태로 받을 수 있다.
AT+MEVTFORM=abcdefghij
이 명령어는 WizFi250 이벤트 메시지들의 출력 유무와 포맷을 설정하는 명령이다.
파라미터는 총 10개이고, 각 위치에 해당하는 의미는 아래와 같다.
|
0 (No Display) |
1 (Full Message, Default) |
2(Short Message) |
a |
WizFi250 Version 1.0.3.6 (WIZnet Co.Ltd)\r\n |
\r\n[0]\r\n |
|
b |
\r\n[CONNECT %x]\r\n |
\r\n[1]\r\n |
|
c |
\r\n[DISCONNECT %x]\r\n |
\r\n[2]\r\n |
|
d |
\r\n[Link-Up Event]\r\n |
\r\n[3]\r\n |
|
e |
\r\n[Link-Down Event]\r\n |
\r\n[4]\r\n |
|
f |
\r\n[Reset Event]\r\n |
\r\n[5]\r\n |
|
g |
\r\n[TCP Send Error]\r\n |
\r\n[6]\r\n |
|
h |
\r\n[P2P Fail Event]\r\n |
\r\n[7]\r\n |
|
i |
\r\n[LISTEN %x]\r\n |
\r\n[8]\r\n |
|
j |
Joining : ... Successfully joined : ... IP Addr : ... Gateway : ... |
|
위의 설명으로는 조금 이해가 안 될 수도 있겠다.
아래의 사용 예제를 살펴보자.
첫번째 사용 예제이다.
WizFi250의 부팅 메시지, 접속 로그, 링크업 이벤트 및 IP 주소, TCP 연결 및 해제 등의 이벤트 메시지가 모두 출력된다.
AT+MEVTFORM=1111111111 [OK] AT+MPROF=S [OK] WizFi250 Version 1.0.3.6 (WIZnet Co.Ltd) Joining : WizFiDemoAP Successfully joined : WizFiDemoAP [Link-Up Event] IP Addr : 192.168.3.51 Gateway : 192.168.3.1 [CONNECT 0] (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음) [DISCONNECT 0]
두번째 사용 예제이다.
WizFi250의 부팅 메시지는 모두 출력되고, [Link-Up Event], [Link-Down Event], [CONNECT 0], [DISCONNECT 0] 등은 단축 메시지로 출력되고, 나머지 이벤트 메시지는 출력되지 않는다.
AT+MEVTFORM=1222200000 [OK] AT+MPROF=S [OK] WizFi250 Version 1.0.3.6 (WIZnet Co.Ltd) [3] [1] (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음) [2]
세번째 사용 예제이다.
WizFi250의 부팅 메시지, [Link-Up Event], [Link-Down Event], [CONNECT 0], [DISCONNECT 0] 등의 모든 이벤트 메시지가 출력되지 않는다.
AT+MEVTFORM=0000000000 [OK] AT+MPROF=S [OK] (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음)
2. AT+MEVTDELAY
이벤트성 메시지와 관련하여, 추가로 아래의 명령에 대해서도 알아보자.
AT+MEVTDELAY=x
상대방 MCU에서 원활하게 Event 출력을 인식하게 하기 위하여, Event Message 전 후로 일정 시간(x ms) 동안 Delay를 보장한다.
(a) AT+MEVTDELAY=0 로 설정하는 경우
아래의 UART 데이터가 연속으로 전달될 가능성이 있고, MCU에서는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아래의 데이터를 분석하여야 한다.
user data.....
[CONNECT 0]
user data.....
(b) AT+MEVTDELAY=50 로 설정하는 경우
AT+MEVTDELAY=50으로 설정하면, WizFi250은 아래와 같이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어, MCU 입장에서는 [CONNECT 0]의 이벤트를 분석하기 용이하다.
단, UART 데이터 입출력을 강제로 제한하는 방식이므로 UART 데이터 유실의 있을 수 있다.
user data.....
(50ms 의 Delay 보장)
[CONNECT 0]
(50ms 의 Delay 보장)
user data.....
'WiFi modu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zFi250에서 Domain Name 사용하기(AT+SDNAME) (0) | 2015.06.16 |
---|---|
AT+FSOCK, AT+MEVTFORM 명령을 이용한 실전 예제 (0) | 2015.05.22 |
WizFi250 TCP Client Auto Reconnect (0) | 2015.04.16 |
WizFi250 automatic re-association (0) | 2015.04.07 |
PubNub with WizFi250 (0) | 2015.02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