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iFi module
IoT Device(WizFi250) 관점에서의 IoT Cloud System
DH0815
2014. 11. 14. 12:38
오늘은 WizFi250이 IoT 디바이스로써 IoT 클라우드에 접속할 때의 데이트 흐름에 대해서 얘기해 보겠다.
스마트 가전의 데이터 흐름 패턴으로
- 스마트 가전의 동향
- 스마트 가전의 운용 형태
- IoT Cloud 객체들의 관계와 역할 등을
표준화 단체, IoT 클라우드 플랫폼 업체, Telco가 아닌 IoT 디바이스 관점에서 IoT 클라우드를 얘기해 보겠다.
<초기 설정>
설치자는 IoT Device를 인터넷에 연결시킴
IoT Device는 IoT Cloud Server에 등록
<Device Data 전송>
IoT Device의 데이터(상태, 센싱)가 IoT 클라우드로 전송
(A) HTTP(XML, JSON, ...) : HTTP Data를 주기적으로 전송
(B) Custom protocol : TCP Connection 유지하면서 자체 프로토콜 사용
HTTPS/SSL
Bulk Data Transfer (FTP, TFTP, Web Socket)
<Device 제어>
외부에서 IoT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서, Device를 제어
1번 데이터 형태는 HTTP(XML, JSON)
<PUSH 서버 이용한 이벤트 처리>
Device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스마트폰에게 알림
Push 서버 : Android(Google GCM), Apple iOS(APNs)
IoT Device가 직접 Push 서버에게 전달하는 경우도 있음 (A ->3)
<Open API 제공자와 직접 통신>
Device는 Open Service를 제공하는 공급자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음
이 때에는 대부분 HTTP(XML, JSON, ...)을 사용